
- HOME
- Business
사업모델

-
국내사업모델
- 1. 지방자치단체 산하 농업기술센터에 증식용 Minituber 공급
- 각 도별 씨감자 거점도시 외 자자체의 농가 보급용 씨감자 생산지
- 사례 : 전라남도 모지자체 농업 기술센터 : 2015년 증식 성공 후 농가 보급 시작
- 2. 국내 대량재배지역 씨감자 공급
- 전라북도 김제 일대, 경상남도 밀양 등의 대규모 하우스 재배 농가
- 2016년 봄 . 전라남도 보성군 지역 감자 재배 작목반에 파종용 감자 증식용 공급 예정
- 3. 감자 가공 및 식품 업체 씨감자 공급
- 감자칩 및 가공용 감자 수요를 위해 위탁재배 농가 보급용 씨감자 공급
- 4. 지자체 단위농협을 통해 일반 감자 재배 농가에 공급
- 최상위 무병우량 씨감자(G0~G2)를 저가에 대량 생산 및 공급
- 실제 감자를 생산하는 감자 재배 농가에 씨감자 수요를 충족 시키기 위해 지역 단위 농협을 대상으로 주문, 공급
해외사업모델
- 1. 합작회사 설립후 현지 시장 진입
- 전략적 중요도에 따라 주요 국가 선정
- 해당국의 정부, 공기업, 우수업체와 현지 합작사 설립
- 합작 사업국가에서 생산, 공급, 씨감자 보급체계 구축을 목표
- 현지 씨감자 업체에 Microtuber 공급 및 보급용 씨감자 자체 생산, 공급 예정
- 2. 로열티 구조
- 전략 국가 선정 후 현지 우수 업체에게 하위세대 증식용 Microtuber를 우선 공급
- 최상위 2 세대 씨감자 생산은 파트너 업체에서 생산, 현지 씨감자 생산업체에 판매하는 구조
- 파트너사의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저가에 씨감자 공급
- 2세대 씨감자 매출액에서 일정 로열티를 받는 구조
- 3. 기술 이전
- 각 업체의 자체 개발 품종의 microtuber 생산 및 증식을 위한 기술이전
- 대륙별 공급을 위해 선정된 우수 파트너 업체 대상
- 기술이전의 범위 : 조직배양 및 줄기생산 , 최상위 씨감자 재배기술까지의 전과정의 기술 이전
- 기술료 산정 기준 : 기술 이전 국가의 감자 생산규모, 경제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기술 이전료 산정
- 4. 대규모 재배지 직판 방식
- 씨감자 부족 국가의 현지 파종용 씨감자 시장 진출을 목표
- 직파 또는 증식용 2세대 씨감자를 직접 공급
- Africa등 저개발 국가등은 식량자원 지원을 위해 UN, FAO, 세계감자기구(C.I.P) 등을 통해 저가 지원